아몬드 – 손원평
손원평 작가의 장편소설 "아몬드"는 감정 표현 불능증인 ‘알렉시티미아’를 앓는 주인공 선윤재의 특별한 성장 과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2017년 출간 이후, 청소년 분야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습니다. 윤재라는 독특한 인물을 통해 공감 능력의 중요성과 인간 관계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이 소설은, 단순한 성장 소설을 넘어 우리 사회에 깊은 질문을 던집니다.
줄거리: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아이, 윤재
선윤재는 선천적으로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하는 알렉시티미아, 즉 감정 표현 불능증을 앓고 태어났습니다. 그의 뇌 속 편도체는 일반인보다 작아 ‘아몬드’라고 불리며, 공감 능력과 감정 인식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윤재의 이러한 결핍은 세상과의 소통을 어렵게 만들지만, 할머니와 엄마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평범한 일상을 유지하며 살아갑니다.
윤재의 집은 낡은 2층 건물 위층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아래층은 엄마가 운영하는 헌책방입니다. 헌책방은 윤재에게 세상과 소통하는 창구 역할을 합니다. 할머니는 윤재에게 감정을 가르치기 위해 노력합니다. "기쁘면 이렇게 웃고, 슬프면 이렇게 울어." 할머니는 윤재에게 감정의 모양을 알려주지만, 윤재는 여전히 타인의 감정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러던 어느 크리스마스 이브, 윤재의 가족은 비극적인 사건에 휘말립니다. 길거리에서 벌어진 묻지마 살인사건으로 할머니와 엄마를 잃게 된 것입니다. 윤재는 슬픔조차 제대로 느끼지 못했지만, 홀로 남겨진 채 세상에 던져집니다.
사건 이후, 윤재는 주변의 시선과 편견에 직면하며 힘겨운 시간을 보냅니다. 하지만 그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과 예상치 못한 만남들을 통해 점차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사고뭉치 문제아 곤이와의 만남은 윤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곤이는 윤재와는 정반대로 감정이 풍부하고 즉흥적인 인물입니다.
곤이는 윤재에게 끊임없이 감정을 자극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다양한 방식을 가르쳐줍니다. 곤이와의 우정은 윤재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윤재는 도라라는 소녀를 만나면서 사랑이라는 새로운 감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윤재는 곤이, 도라와의 관계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감정을 조금씩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그는 여전히 완벽하게 감정을 느끼지는 못하지만,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려는 노력을 통해 진정한 인간으로 성장해 나갑니다.
주요 등장인물
- 선윤재: 감정 표현 불능증 (알렉시티미아)을 앓는 주인공. 타인의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하지만,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해 나간다.
- 곤이: 윤재와는 정반대로 감정이 풍부하고 폭력적인 성향을 가진 문제아. 윤재에게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가르쳐준다.
- 도라: 윤재에게 호감을 느끼는 소녀. 윤재에게 사랑이라는 새로운 감정을 알려준다.
- 윤재의 엄마와 할머니: 윤재를 헌신적으로 보살피는 존재. 윤재에게 감정을 가르치고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준다.
소설이 던지는 메시지
"아몬드"는 단순한 성장 소설을 넘어 우리 사회에 깊은 질문을 던집니다.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해지는 사회, 소통의 부재, 공감 능력의 중요성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윤재라는 특별한 인물을 통해 보여줍니다. 작가는 윤재의 시선을 통해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감정, 관계, 소통의 의미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마무리하며
손원평 작가의 "아몬드"는 감정 표현 불능증을 앓는 소년의 성장 과정을 통해 공감 능력의 중요성과 인간 관계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감동적인 소설입니다. 윤재의 특별한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이 소설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작품입니다.